의료 현장에서 구글 글래스가 널리 사용될 수 있을까?

구글 글래스에 대해서 지난번에 썼던 글이 (구글글래스는 의료 혁신을 가져올 것인가?)

너무 성의가 없었던 것 같아서 다시 정리해 보려고 합니다.

 

건강 혹은 의료 분야는 모바일 기술의 발달로 큰 혁신을 맞이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또한 건강 분야가 모바일에서 큰 사업 기회를 열 것이라 예상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렇다 보니 모바일 헬스와 관련된 새로운 장비, 혁신적인 기술이 나오면

의료 현장을 바꾸어 놓을 가능성에 대해서 흥분하는 목소리가 나오는 경우가 많습니다.

 

2년 반 전에 처음으로 소개된 구글 글래스 역시 그 중 하나입니다.

손을 쓰지 않아도 된다는 점, 시선과 디스플레이가 같은 방향으로 움직인다는 장점 때문에

웨어러블 분야의 차세대 아이템으로 각광 받았습니다.

비록 아직 정식으로 출시되지는 않았고, 의료용으로 개발된 것은 아니지만

여러 선도적인 의사들이 그 장점에 주목하면서 의료 현장에 접목하기 위한 시도가 이루어졌습니다.

 

그 대표적인 경우들을 살펴보겠습니다.

 

1. 수술 현장에서의 활용

(1) 수술 중 환자 이상을 더 빨리 발견하고 수술에 더욱 집중할 수 있음

보통 전신 마취 수술 중에는 마취과 의사가 환자의 생체 징후를 모니터링하고 관리합니다.

하지만, 수면 내시경 등 수면 상태에서 진행하는 시술의 경우에는

별도의 의료 인력이 환자의 생체 징후를 관리하지 못하고

시술자가 수시로 확인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스탠포드 의과대학과 VitalMedicals라는 앱 제조사에서 공동 연구를 실시하였습니다.

(Google Glass makes doctors better surgeons, Stanford study shows)

의사가 시술 도중에 구글 글래스를 사용하여

환자의 생체 징후 (Vital Sign: 혈압, 맥박, 산소 포화도 등)을 확인하도록 하였을 때

환자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발견하는 속도가 빨라졌고

생체 징후를 표시해주는 감시 장비를 덜 확인할 수 있게 되면서 수술에 대한 집중도가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2) 수술 중 CT, MRI 등 정보 확인

생체 징후뿐만 아니라 다양한 환자 관련 정보를 구글 글래스에 띄워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수술 집도 의사는 수술 중 CT나 MRI를 확인해야하는 경우가 있는데

환자 옆을 잠시 떠나거나 고개를 돌려서 컴퓨터 모니터를 통해서 이미지를 확인합니다.

그런데 구글 글래스를 사용하면 수술 필드에 집중하면서도 환자에 대한 중요 정보를 바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Indiana University Health Methodist Hospital의 Dr. Paul Szotek은 구글글래스를 착용한 상태에서 수술을 하면서

그 내용을 라스베가스에서 열린 미국 탈장 학회의 연차 총회 자리에 모인 600여명의 의사들에게 전송하였고

수술 중에 음성 인식 기능을 이용하여 MRI와 엑스레이 사진을 구글 글래스로 불러와서 확인하는 모습을 보여주었습니다.

(IU Health first in Indiana to use Google Glass in surgery)

 

(3) 수술 화면 전송: 교육, 협진

구글글래스를 통해서 외과의사가 보는 장면을  전송함으로써

레지던트 혹은 의과대학생을 교육하거나 동료 의사로부터 실시간으로 자문을 구할 수 있습니다.

의학 드라마를 보면 수술장 2층에 일종의 관람실이 있어서

의과대학생이나 레지던트들이 천재 외과의사의 수술 장면을 보면서 경탄하고 배우는

모습이 나옵니다.

하지만, 현실에서 그런 관람실은 없으며

설사 있다고 해도 그렇게 먼 곳에서 수술 장면을 관찰하기는 힘듭니다.

또한, 수술장에 들어간다고 해도 집도의사 뒤에서 혹은 옆에서

수술 장면을 제대로 보고 배우기는 쉽지 않습니다.

구글 글래스는 집도 의사가 보는 장면을 그대로 실시간 영상 전송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런 한계를 넘어설 수 있습니다.

 

Ohio State University의 정형외과 의사인 Christopher Kaeding은 구글 글래스와 구글 Hangout을

이용해서 정형외과 조교수와 의과대학 2학년 학생들에게 수술 장면을 전송하였습니다.

이는 다양한 매체에 소개되었는데

특히 ABC 방송의 Good morning America라는 공중파 메인 프로그램에 소개되기도 하였습니다.

(Google Glass Assists Surgeons and Medical Students at Ohio State University)

 

또 Stanford 대학교 병원에서는 심장외과 레지던트 수련에 구글글래스를 이용한다고 발표하기도 했습니다.

위의 경우와는 반대로 레지던트가 구글 글래스를 끼고 수술을 하면

지도 의사가 이를 보면서 수술을 지도하는 식으로 구글 글래스를 활용한다고 합니다.

(Stanford University trains surgical residents with Google Glass)

 

2. 응급 상황에서 활용

응급 상황에서 현장에 있는 응급 구조사가 낀 구글 글래스를 통해서

먼거리에 있는 응급의학 전문의가 상황을 직접 확인하고

필요한 처치를 지시할 수 있습니다.

MedEx라는 엠뷸런스 서비스 업체는

시카고에 있는 Advocate Illinois Masonic Medical Center와 파트너쉽을 맺고

병원에 있는 응급의학 전문의가 현장에 있는 응급 구조사의 구글 글래스를 통해서

전송되는 정보를 보고 적절한 처치를 지시하거나 조언하는 시범 프로그램을 시작하였습니다.

(Chicago medics test Google Glass in the field)

국내에서는 명지병원이 응급 상황에서 구글 글래스를 사용하는 시연을 실시한 바 있습니다.

(119대원의 구글 글라스 영상, 1초만에 응급실로)

 

3. 원격 진료에 활용

Pristine이라는 회사가 개발한 구글 글래스 실시간 영상 전송 기술을 이용해서

Rhode Island 병원 응급실에 내원한 환자에 대해서

원거리에 있는 피부과 의사와 실시간으로 상의하는 파일럿 프로그램을 운영했습니다.

이런 정도라면 굳이 구글 글래스를 사용하지 않고 핸드폰 카메라만 사용해도 충분할 것 같기는 합니다.

 

4. 의무기록 전사 (EMR Dictation)

전자의무기록으로 인해서 외래 진료할 때 의사가 환자의 눈을 마주보는 시간보다

모니터 화면을 쳐다보고 자판으로 정보를 입력하는 시간이 더 길어졌습니다.

이는 미국에서도 마찬가지 입니다.

Augmedix 회사는 의사가 환자와 주고 받는 말과, 구글 글래스에 보이는 정보를

손쉽게 의무 기록으로 입력할 수 있는 앱을 개발하였습니다.

Dignity Health 병원은 Augmedix의 앱을 외래 진료에 활용하는 파일럿 프로그램을 시작하였습니다.

(How Google Glass Automates Patient Documentation For Dignity Health)

 

5. 진료 편의 증가

구글 글래스를 통해서 환자에 대한 정보를 빠르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Beth Israel Hospital은 구글 글래스를 통해서 응급실 환자 병실 바깥에 부착된 QR code를 스캔하면

그 환자에 대한 정보가 글래스에 뜨도록하는 앱을 자체 개발하였습니다.

새로운 환자들이 계속 들어오지만 사전 정보가 제한적인 응급실에서

담당 의사가 빠르게 환자를 파악하고 진료할 수 있도록 도와주게 됩니다.

3개월간의 파일럿 프로그램을 거쳤으며 응급실에서 진료하는 의사 중 원하는 사람은 모두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ER doctors use Google Glass and QR codes to identify patients)

 

이렇게 많은 회사, 병원, 의사들이 구글 글래스에 관심을 가지고 의료 현장에서 이를 활용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지난 11월경부터 구글 글래스에 대한 관심이 식고 있다는 이야기가 나오기 시작했습니다.

(Consumer startups abandon Google Glass, healthcare companies weigh alternatives

As Developers Depart, Google Glass Is Ready To Become This Era’s Segway )

위의 기사에 실린 내용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1. Reuters에 따르면 접촉한 16개의 구글 글래스 앱 개발 회사 가운데 9개가 개발을 중단했다고 합니다.

(Google Glass future clouded as some early believers lose faith)

 

2. 구글 벤처스를 포함해서 여러 VC들이 ‘Glass collective’라는 이름으로

구글 글래스 관련 앱을 개발하는 회사에 투자하기위한 펀드를 결성하였으나

현재 인터넷 홈페이지가 없어지는 등 사실상 활동을 중단한 것으로 보입니다.

 

3. 구글 글래스 프로젝트를 이끌었던 Babak Parviz가 아마존으로 자리를 옮기는 등,

구글 글래스 프로젝트를 담당하던 몇명의 직원들이 구글을 떠났습니다.

 

4. Qualcomm Life 회사와 Palomar Health 병원은

헬스케어에 집중하는 인큐베이터 (벤처 창업 지원 회사)인 Glassomics를 설립하고

구글 글래스 관련 앱을 개발하는 벤처 창업을 지원할 계획이었으나

현재 그 이름을 Lensomics로 바꾸어 ‘Glass’이외의 분야로 전환하는 것이라는

추측을 낫고 있습니다.

 

5. 구글글래스를 이용해 헬스케어를 혁신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립된 Remedy 회사의

공동 설립자이자 COO인 Gina Siddiqui가 Medium에  올린 포스트에서

의료 전문가들이 구글 글래스를 통해서 의료 혁신을 달성하도록 돕기 위해서

회사를 창업하였는데, 이제 (구글 글래스와 의료계 사이의) 허니문이 끝나가는

시점에서 Remedy 회사는 어떻게 해야하는가? 의료계와 (우리 회사는)

잘못된 만남의 덫에 걸려든 것인가? (Did medicine (and our company) get

ensnared into a toxic relationship?)

라고 언급하였습니다.

 

구체적인 증거가 있는 것은 아니고 간접적인 정황만 언급한 셈입니다.

 

이외에도 구글 글래스의 미래와 관련된 다양한 의견들이 나오고 있습니다.

부정적인 전망을 내놓는 곳들은 스마트 글래스 전반을 부정적으로 보기 보다는

현재의 구글 글래스 사양을 기준으로 해서 구글 글래스의 미래가 밝지 않다고

지적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MIT Technology Review: Google Glass Is Dead; Long Live Smart Glasses )

 

그렇다면 의료에서 구글 글래스의 미래는 어떨까요?

 

구글 글래스를 써보지 못한 저로서는 편의성 등 구글 글래스의 장비로서의 특성을

평가하기는 힘듭니다.

하지만, 예전에 썼던 포스팅(구글글래스는 의료 혁신을 가져올 것인가?)에서

PDA 폰이나 갤럭시 탭이 도입되는 과정을 지켜보았던 경험을 바탕으로

구글 글래스 도입과 관련된 상황에 초점을 두고 정리해보겠습니다.

 

1. 누구의 돈으로 구입할 것인가: 의사 VS 병원 VS 보험자 VS 국가

구글 글래스는 의사가 자비로 구입해서 사용해야할 가능성이 큽니다.

왜냐하면 구글 글래스가 병원 매출 혹은 이익을 높여줄 가능성이 높지 않기 때문입니다.

위에서 언급한 것처럼 몇몇 선구적인 의사들이 구글 글래스가 의료에 큰 도움이

될 것임을 보여주고 있는데

환자 안전과 관련된 것이 많으며 몇가지는 의사의 업무 생산성과 관련되어 있습니다.

많은 나라들이 의료비 증가 추세에 부담을 느끼고  의료비를 절감하기 위해서

노력하고 있는데, 병원 입장에서는 직접적으로 이익을 높여주지 못하는 곳에

투자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투자비용이 많이 들면서도 의료적 가치를 확실하게 입증되지 못한 로봇 수술의 경우,

비싼 수술비를 청구할 수 있다는 점 때문에 많은 병원들이 앞다투어 도입한 바 있습니다.

구글 글래스는 의료적 가치가 있을 가능성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수익에 직접적인 도움이 되지 않을 것이기 때문에

병원차원에서 도입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를 진료에 활용하는 병원들이 있기는 하지만

장비를 병원이 사서 지급하는 경우는 드문 것과 비슷할 것이라 생각합니다.

 

보험회사에서 구글 글래스의 가치를 인정하고 충분한 수가를 책정하거나

국가 차원에서 환자 안전을 위한 예산을 따로 배정하여 구글 글래스를 구매해주지 않는 이상

병원들이 자체적으로 구글 글래스 도입에 본격적으로 나설 가능성은 낮아 보입니다.

환자 안전을 중요시 하는 병원이라는 이미지를 위해서 제한적으로 도입하거나

도입하는 척만하고 신문 방송에 실리는 효과만을 노리는 경우가 많을 것 같습니다.

 

이는 암환자를 진료할 때 여러 진료과의 의사가 함께 진료하여

환자가 최적의 진료를 받을 수 있게 도와준다고 하는 ‘다학제 진료’가 도입된 과정과 유사합니다.

다학제 진료는 2014년 8월부터 별도의 수가가 인정되었는데

그 이전까지는 병원들이 다학제 진료를 제공하지 않거나

제공한다고 해도 일부의 환자들만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수가가 인정된 이후에야 본격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2. 의사들이 병원에서 사용하기 위해서 자비로 구글 글래스를 구입할 것인가?

아직 구글 글래스는 정식으로 출시되지는 않았으며

2014년 4월에 판매되었을 때 그 가격이 $1,500로 책정되었습니다.

즉, 손쉽게 구입할 정도의 제품이 아닙니다.

이정도 가격의 제품을 개인적인 용도와 무관하게 병원에서 사용하기 위한 목적으로

자비로 구입하는 의사 수는 많지는 않을 것 같습니다.

스마트폰이 나오기 이전에 PDA 폰이 출시되었을 때 이를 진료에 활용할 수 있었지만

신기술에 관심이 많은 일부 의사들을 제외하고는 자비로 사서 쓴 경우가 별로 없었다는 것으로

미루어 짐작할 수 있습니다.

 

다만, 위에서 언급한 구글 글래스의 의료계 적용 사례 가운데

의무기록 전사와 같은 의료진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들이

실제로 입증되고 생산성 향상 정도가 매우 뛰어나다면

 

3. 의사들의 신기술 수용도가 일반인들보다 빠를 것인가?

또 한가지 생각해보아야할 것은 의사들이 최신 기술 도입에 익숙할 것 같지만

일반인들과 별 다를 것이 없다는 점입니다.

분당서울대병원이 개원 당시인 10여년 전에 직원들에게 PDA 폰을 지급하고

병원 EMR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였는데

예상보다 적은 의료진들만이 PDA 폰을 사용하였습니다.

(예전 포스팅(구글글래스는 의료 혁신을 가져올 것인가? ) 참고)

PDA폰이 지금의 스마트폰 보다 사용하기가 불편하다는 점 등

여러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일반인들이 쉽게 사용할만한 장비가 아니면

다수의 의사들은 수용하지 않을 것이라는 점을 보여줍니다.

1번에서 언급한 것과 연결지어 생각해보면

스마트폰처럼 일반 대중들이 자연스럽게 수용하게되어야

의사들도 스마트 글래스를 사게 되고

개인적으로 산 스마트 글래스를 병원에 가져와서 쓸 수 있게될 것이라는 것입니다.

관건은 의사들이 스마트 글래스를 어떻게 받아들일지가 아니라

일반인들이 어떻게 받아들이게 될지인 셈입니다.

 

 

구글 글래스가 진료 현장을 혁신할 가능성이 자주 언급되는 것은

구글 글래스를 일반 대중이 바로 받아들이기는 힘들다고 생각하고

성공적으로 안착할 수 있는 틈새 시장이 의료 분야라고 생각했기 때문일지도 모르겠습니다.

하지만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의료분야, 특히 의사들의 구글 글래스 수용은

일반 대중과 같은 속도로 이루어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아마 방위 산업 혹은 일반 기업 분야 등에서 그 가치를 입증하고 성능을 개선한 다음에

일반 대중이 받아들이게되고 이와 함께 의료 분야에서도 활용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Leave a Reply

Fill in your details below or click an icon to log in:

WordPress.com Logo

You are commenting using your WordPress.com account. Log Out /  Change )

Facebook photo

You are commenting using your Facebook account. Log Out /  Change )

Connecting to %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