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즈니월드에서 보고 느낀 것

연말 가족 휴가를 올랜도 디즈니월드로 다녀왔습니다. 잘 만들어진 테마파크에서 몇일을 보내면서 흥미롭게 생각한 것들을 정리해 보려고 합니다. 느낀 것을 그대로 쓸 것이라 읽는 분들에게 당연한 내용이 있고, 다소 중구난방일 수 있다는 점 미리 양해를 구합니다. 또한, 제가 디즈니월드에서 보낸 시간이 제한적이기 때문에 다소 편협한 시각이 반영될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컨텐츠는 왕이다' 빌게이츠가 했다는 말입니다. … Continue reading 디즈니월드에서 보고 느낀 것

의사 고용 시장의 분수령이 될 ‘그 날’이 온다.

제 블로그에서 비교적 많이 읽힌 글 중에 의사들의 고용 상황 변화와 의사 고용 상황 변화가 어떤 결과를 가져올 것인가? 가 있습니다. 블로그 유입 경로를 보다보면 고3 수험생 커뮤니티나 의학/치의학 전문대학원 입시 커뮤니티 같은 곳에 이런저런 주장을 뒷받침하는 근거 중 하나로 올라가 있는 경우가 보여서 흥미로웠습니다.   위의 글에서 썼던 내용 중 결론을 가져와 보겠습니다. '의사들의 … Continue reading 의사 고용 시장의 분수령이 될 ‘그 날’이 온다.

아산병원은 어떻게 1위가 되었는가?: 마케팅 포지셔닝

도발적인 제목 때문에 언짢은 분들이 없었으면 합니다.   국내에서 대형 병원 순위를 이야기할 때 적어도 공개 석상에서 1위 병원을 언급하는 경우는 드뭅니다. Big4 병원 모두 훌륭한 수준을 갖추었으며 다양한 외부 기관이 실시한 평가에서 Big4병원들이 1위를 나누어 가지고 있습니다.   모두들 훌륭한 병원이기는 하지만 의사나 기타 의료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그중 어느 병원이 1위냐고 물어보면 많은 분들이 … Continue reading 아산병원은 어떻게 1위가 되었는가?: 마케팅 포지셔닝

의료서비스의 상품 특성에 대한 이해(2): 신용재, 경험재, 탐색재

지난 포스팅 (의료 서비스의 상품 특성에 대한 이해(1): 고관여상품과 저관여상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Big4 병원의 암 수술이나 성형수술, 라식수술 모두 고관여입니다. 그런데 성형수술과 라식수술은 블로그나 카페 마케팅이 활발하고 가격 할인을 제공하는 경우도 많지만 중증 수술은 그렇지 않습니다. (일반적인 중증 수술은 법적으로 가격 할인이 불가능하지만 로봇 수술 같은 경우 비급여이기 때문에 가격 할인이 가능합니다.) 성형수술과 라식수술이 상업화되었고 … Continue reading 의료서비스의 상품 특성에 대한 이해(2): 신용재, 경험재, 탐색재

병원에서의 가격 책정과 가격 할인 (2): 경쟁, 지불 의향 기반 가격 책정

2. 경쟁 기반 가격 책정 경쟁 기반 가격 책정에 대해서 간단히 살펴보고 넘어가겠습니다. 주위 경쟁자들의 제품 가격을 수집하여 거기에 바탕을 두고 가격을 책정하는 방식입니다. 대개 인근 지역의 가격 수준을 보고 유사한 가격을 책정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동네 의원에서 백신이나 영양제를 도입해서 가격을 정할 때 보통 영업사원에게 근처 지역의 시가를 알아보고 거기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 가격을 책정하는 것도 마찬가지 … Continue reading 병원에서의 가격 책정과 가격 할인 (2): 경쟁, 지불 의향 기반 가격 책정

의료 서비스의 상품 특성에 대한 이해 (1): 고관여 상품과 저관여 상품

가족 중에 암에 걸리는 사람이 생기면 지인을 총동원하여 어느 병원 어느 교수님이 대한민국 최고 명의인지를 알아보게 마련입니다. 척추나 무릎 수술을 받아야 한다면 마찬가지로 대한민국 최고 명의를 알아보는 경우도 있겠지만 깔끔하게 수술 잘한다고 소문난 근처 병원을 소개받고 찾아가는 경우가 더 흔합니다. 또, 자식이 감기에 걸리면 동네 아줌마 인터넷 커뮤니티에 들어가서 어느 소아과 선생님이 항생제 안쓰고 감기 치료 … Continue reading 의료 서비스의 상품 특성에 대한 이해 (1): 고관여 상품과 저관여 상품

Big5 병원과 2위권 병원들 간의 격차는 왜 벌어졌을까?

Big4 혹은 Big5 병원들은 2000년대부터 매우 빠르게 규모를 키워왔습니다. 2012년 한겨례 21잡지는 의료계 무한 포식자, 5마리 황소 개구리 라는 제목으로 제목만 들어도 내용을 알 수 있을 것 같은 기사를 싣기도 했습니다. 기사의 아래쪽에 나오는 그림을 보면 Big5가 다른 상급종합병원에 비해서 얼마나 빠르게 성장했는 지를 실감나게 알수 있습니다.   과연 Big5 병원들은 왜 이렇게 빠르게 규모를 … Continue reading Big5 병원과 2위권 병원들 간의 격차는 왜 벌어졌을까?

병원에서의 가격 책정과 가격 할인 (1): 비용 기반 가격 책정과 가격 경쟁

가격 할인 이야기가 나오면 단순히 더 많은 환자를 유치하기 위한 박리다매 혹은 치열한 경쟁으로 인한 가격 경쟁으로 치부해버리는 분들이 많습니다. 물론 박리다매나 가격 경쟁 자체도 의미가 있을 수 있지만 좋은 경영자라면 언제, 왜 가격할인을 할 것인지에 대한 고민이 필요합니다. 그냥 남들 따라하는게 아닌 전략적 가격 할인에 대해서 생각해보겠습니다.   가격 할인의 한단계 위 개념이라고 할 수 … Continue reading 병원에서의 가격 책정과 가격 할인 (1): 비용 기반 가격 책정과 가격 경쟁

병원 마케팅 101 (2): 4P와 구체적인 마케팅 활동

지난 포스팅 (마케팅 101 (1))에서 살펴본 Segmentation, Targeting, Positioning (STP)는 넓은 범위에서 마케팅의 틀을 정하는 활동이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좀 더 구체적인 마케팅 활동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구체적으로는 어떤 곳에서 어떤 서비스를 어떤 가격에 제공할 것이며 어떻게 고객들에게 알릴 지를 결정하게 됩니다. 이것을 4P라는 말로 정리하기도 합니다. Place, Product, Price, Promotion의 네가지를 이야기 … Continue reading 병원 마케팅 101 (2): 4P와 구체적인 마케팅 활동

병원 마케팅 기본 (1): 고객에 대한 이해와 STP

병원 간의 경쟁이 치열해지고 이미 오래전부터 병원 마케팅 이야기가 자주 나오고 있습니다. 우리나라 의료 시장의 성장세는 정체되고 있으며 다른 내수 산업과 마찬가지로 '성숙기'로 접어들고 있는데 유통업 등 성숙기에 들어선 다른 산업의 경우를 놓고 생각해보면 의료 시장에서 마케팅의 비중은 더욱 커질 것이라고 예상할 수 있습니다.   저도 개인적으로 마케팅에 관심이 많아서 이런저런 기회에 병원 마케팅에 대한 … Continue reading 병원 마케팅 기본 (1): 고객에 대한 이해와 ST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