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발적인 제목 때문에 언짢은 분들이 없었으면 합니다. 국내에서 대형 병원 순위를 이야기할 때 적어도 공개 석상에서 1위 병원을 언급하는 경우는 드뭅니다. Big4 병원 모두 훌륭한 수준을 갖추었으며 다양한 외부 기관이 실시한 평가에서 Big4병원들이 1위를 나누어 가지고 있습니다. 모두들 훌륭한 병원이기는 하지만 의사나 기타 의료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그중 어느 병원이 1위냐고 물어보면 많은 분들이 … Continue reading 아산병원은 어떻게 1위가 되었는가?: 마케팅 포지셔닝
Tag: Big4 병원
Big5 병원과 2위권 병원들 간의 격차는 왜 벌어졌을까?
Big4 혹은 Big5 병원들은 2000년대부터 매우 빠르게 규모를 키워왔습니다. 2012년 한겨례 21잡지는 의료계 무한 포식자, 5마리 황소 개구리 라는 제목으로 제목만 들어도 내용을 알 수 있을 것 같은 기사를 싣기도 했습니다. 기사의 아래쪽에 나오는 그림을 보면 Big5가 다른 상급종합병원에 비해서 얼마나 빠르게 성장했는 지를 실감나게 알수 있습니다. 과연 Big5 병원들은 왜 이렇게 빠르게 규모를 … Continue reading Big5 병원과 2위권 병원들 간의 격차는 왜 벌어졌을까?
병원 마케팅 기본 (1): 고객에 대한 이해와 STP
병원 간의 경쟁이 치열해지고 이미 오래전부터 병원 마케팅 이야기가 자주 나오고 있습니다. 우리나라 의료 시장의 성장세는 정체되고 있으며 다른 내수 산업과 마찬가지로 '성숙기'로 접어들고 있는데 유통업 등 성숙기에 들어선 다른 산업의 경우를 놓고 생각해보면 의료 시장에서 마케팅의 비중은 더욱 커질 것이라고 예상할 수 있습니다. 저도 개인적으로 마케팅에 관심이 많아서 이런저런 기회에 병원 마케팅에 대한 … Continue reading 병원 마케팅 기본 (1): 고객에 대한 이해와 STP
Big4 병원들이 해야하는 일: 미션과 전략적 의사 결정
예전에 썻던 글을 다시 정리해서 쓰는 글입니다. (병원의 옳은 전략은 무엇일까?) 제가 근무했던 병원 이야기를 꺼내게 되는데 반복해서 말씀드리지만, 제가 쓰는 이야기들은 그 병원에만 해당되지 않고 다른 Big4 병원에도 똑같이 적용된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글을 쓰는 것입니다. 기업들도 마찬가지이지만 병원들도 경쟁 병원을 의식하고 앞서가기 위한 노력을 합니다. 그래서 Big4 병원들 사이에도 일반적인 수준의 내부 … Continue reading Big4 병원들이 해야하는 일: 미션과 전략적 의사 결정
마음대로 매긴 Big4병원 Facebook 순위
얼마전에 Big4 병원의 홈페이지에 대한 단상 (http://www.chiweon.com/?p=1035)이라는 제목으로 포스팅을 했는데 막상 내용은 삼성서울병원과 서울대병원 만을 다루었습니다. 이번에는 Big4 병원 페이스북 순위를 순전히 제 마음대로 매겨 보려고 합니다. 저는 소위 'SNS 전문가'도 아니고 순전히 정보 소비자의 관점에서 써보려고 합니다. 다만, 각 병원의 페이스북을 장기간 추적한 것은 아니고 최근 글들을 중심으로 읽어 보고서 매겨본 것이니 그냥 재미로 봐주시면 좋겠습니다. … Continue reading 마음대로 매긴 Big4병원 Facebook 순위
Big4 병원의 홈페이지에 대한 단상: 삼성서울병원, 서울대병원을 중심으로
빅데이터 마케팅 책을 읽다가 국내 대형 병원의 홈페이지에 대한 아이디어들이 떠올라서 포스팅을 남겨봅니다. 삼성서울병원을 중심으로 보려는 것은 1. 최근에 홈페이지 개편을 한 점 2. 제가 한 때 몸담았던 곳에 대한 애정 때문입니다. 대한민국에서 Big4병원 정도의 위상을 갖춘 곳은 건강 지식에 대한 포털이 되어야 하지 않나하고 생각합니다. 건강에 대한 정보를 검색할 때 우선 네이버를 이용하고 그 … Continue reading Big4 병원의 홈페이지에 대한 단상: 삼성서울병원, 서울대병원을 중심으로
병원의 옳은 전략은 무엇일까?
짧은 포스팅으로 전략이라는 어마어마하게 큰 주제를 다룰 생각은 없으니 약간의 낚시성 글입니다. 얼마전 삼성서울병원에 갔다가 엘리베이터에서 흥미로운 광고를 보았습니다. 삼성서울병원이 심평원 적정성 평가에서 전부문(5개부문)에서 1등급을 받았다는 내용입니다. 잘 안보입니다만 해당 부문은 1. 관상동맥 우회술, 2. 제왕절개 분만, 3. 급성심근경색증, 4. 수술의 예방적 항생제, 5. 급성기 뇌졸중입니다. 이걸 보고 든 생각은 삼성서울병원이 급성심근경색증과 급성기 뇌졸중을 잘 … Continue reading 병원의 옳은 전략은 무엇일까?
서울의대 출신 의사들, 잔치는 끝났다.
최근에 의과대학 후배들과 이런저런 이야기를 나누다가 이들의 불확실한 미래에 대한 이야기가 나왔습니다. 의료계가 점점 힘들어진다는 것은 다들 잘 알고 있을 것이고 서울의대 출신들에게도 지금까지와는 다른 미래가 기다리고 있을 것 같습니다. 제가 의과대학에 입학하던 90년대 말 이후 꾸준히 들었던 것이 '이미 의사는 한물 갔으며 좋은 시절 다 끝났으나 지금이라도 다른 길 찾아보라는' 얘기였습니다. 그렇지만 2000년대 초부터 … Continue reading 서울의대 출신 의사들, 잔치는 끝났다.
병원의 센터화로 보는 Big 4 병원 별 특징
늘 느끼는 것이지만 의사의 business career라는 주제로 쓸 글이 참 제한적입니다. 그러다 보니 벌써 넉달 이상 아무 글도 올리지 못했습니다. 앞으로는 주제를 좀 넓혀서 제가 평소에 관심이 많던 병원 경영에 대해서도 써볼 까 합니다. 최근 모컨설팅 회사에서 보고서 쓰는 것을 자문해준 일이 있습니다. 우리나라 Big 4 병원들이 센터화를 하는 방식이 다른데 그 이유가 무엇일까 하는 … Continue reading 병원의 센터화로 보는 Big 4 병원 별 특징